엔비디아의 주가 급등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 중 하나인 한미반도체의 목표주가를 대략 계산해보고 관련 업종에 대한 전망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1. 한미반도체가 시장의 관심을 받는 이유?
올해 들어 1만원대에 머물던 한미반도체의 주가가 6만원 대까지 매우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일부 고평가 논란이 있었지만 시장에서는 HBM 시장, 즉 인공지능 시장의 성장성에 따른 한미반도체의 성장성에 더 큰 무게를 두는 느낌이었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처참한 3분기 실적을 발표한 이후에는 시간외 급락과 함께 며칠 급락하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미반도체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아직 우호적 입니다.
현재 인공지능 시장은 초기 단계이며, 초기 단계의 시장은 엔비디아 – SK하이닉스 – 한미반도체로 이어지는 엔비디아의 GPU가 현재까지는 거의 독점적인 시장 지배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미반도체의 HBM 및 엔비디아의 GPU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한미반도체 기업분석 및 GPU, HBM에 대해 알아보러 가기
결국 아직 인공지능 시장의 성장성은 무한하며, 그러한 시장을 독점적으로 지배하는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 그리고 그러한 SK하이닉스에 TC 본딩 기술을 제공하는 업체가 현재까지는 한미반도체로 유일하기 때문에 여러 고평가 논란에도 한미반도체가 시장에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2. 한미반도체 목표주가 계산해 보기
최근 한미반도체의 향후 목표주가를 발표한 회사들의 수치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BNK 투자증권 목표가 : 7만원
- 삼성증권 : 7만 7천원
확실히 현재도 고평가 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현재 주가인 6만원 초반에서 향후 목표가 와의 갭이 많이 크지 않은 상태입니다.
사실 최근 에코프로와 같은 2차전지 회사의 급등을 보면 특징이 있는데 꽤 먼 미래의 실적을 기대하고 그러한 실적 기대치를 바탕으로 매우 빠른 시간 안에 급등을 하고 또 회사의 주가가 급락을 하기도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뭔가 예전보다 주가 흐름이 사이클이 매우 빨라 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는 어떤 기업의 주가가 매출과 실적이 시장의 전망대로 나오는 지를 조금씩 확인하며, 서서히 상승했다면
최근에는 2~3년 후의 매출과 실적을 계산하고, 그러한 매출과 실적에 또다시 높은 PER을 바탕으로 계산해서 목표 주가를 산정하고 주가 또한 그러한 목표 주가 까지 상승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최근 에코프로가 아래와 같은 급등을 보여 주었습니다.
한미반도체의 주가 또한 사실 예전의 주가 흐름 및 목표 주가를 계산하는 방식대로 산정한다면 현재의 주가 정도면 충분히 그 성장성을 반영한 주가라고 판단 됩니다. 오히려 더 이상의 주가 상승보다는 2024년이 되어 정말 실적이 예상치와 같이 잘 나오고, 2025년의 예상 실적 또한 아주 높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엔비디아 및 SK하이닉스와의 시장 지배력도 계속 예상처럼 이어지는 가를 확인 할때 까지는 주가 횡보가 합리적인 예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최근의 시장의 흐름이 매우 빠르게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예전의 흐름보다는 에코프로나 기타 다른 2차전지 주식과 같은 급등의 흐름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2차전지 주식과 비슷한 흐름으로 간다고 예상해 보고 목표주가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먼저 예상되는 EPS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사실 어떤 기업의 실적을 예상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특히 한미반도체와 같이 성장하는 시장에 있는 경우 더더욱 그런데 저는 개인적으로 여러 증권사나 애널리시트의 의견보다는 한미반도체 회사 자체에서 목표하는 매출액 및 영업이익을 참고하여 EPS를 산출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최근 곽동신 한미반도체 대표이사가 언급한 회사의 내년 및 2025년 목표 매출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2024년 목표 매출액 : 4500억원
- 2025년 목표 매출액 : 6500억원
먼저 EPS 계산을 위해 최근 한미반도체의 재무재표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위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2021~2022년 한미반도체의 매출액은 대략 3,200~3,700억원이며, 당시 EPS는 대략 1,000원 정도 입니다.
따라서 2025년 목표 매출액인 6500억원은 대략 2021~2022년 매출액의 대략 2배입니다.
따라서 2025년 예상 EPS는 약 1,000의 2배인 2,000원 정도입니다.
그럼 주가 계산은 예상 EPS X 예상 PER = 목표 주가 이므로 예상 PER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혹시 목표 주가를 계산하는 위의 계산식이 이해가 되지 않으시면 아래 EPS 및 PER의 개념에 대한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ER가 어느 정도까지 높아질 수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에코프로의 차트 및 재무재표를 가져와 보겠습니다.
먼저 아래 차트를 보면 에코프로의 주가는 올해 150만원까지 상승하였습니다.
2023년 예상되는 에코프로의 EPS의 경우 아래에 보시면 대략 6,000원이었습니다.
따라서 해당 EPS인 6,000원을 기준으로 에코프로의 최고 주가의 PER를 계산해 보면 1,500,000 / 6,000 = 250
즉 PER는 약 250배가 되게 됩니다. 정말 엄청난 상승입니다.
그럼 이를 기준으로 한미반도체의 목표 주가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먼저 2025년 예상 EPS 및 예상 PER를 바탕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 EPS 2,000원 ( 2025년 예상 EPS) X 예상 PER ( 250배) = 50만원
에코프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면 약 50만원 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해당 계산은 너무 과하게 산정 되었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예상 PER를 조금씩 변경하여 목표가를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상 EPS | 예상 PER | 목표 주가 |
2,000 ( 2025년 예상) | 30 | 60,000원 |
2,000 ( 2025년 예상) | 50 | 100,000원 |
2,000 ( 2025년 예상) | 100 | 200,000원 |
2,000 ( 2025년 예상) | 150 | 300,000원 |
3. 기타 긍정적 전망들
1) 회사 대표이사의 지속적 주식 매수
최근 한미반도체의 곽동신 대표는 아래와 같이 지속적으로 한미반도체의 주식을 매수하고 있습니다.
2023년 7월 부터 2023년 11월까지의 주식 매수분만 고려해도 대략 28만주 정도이며, 금액으로는 대략 150억원에 가깝습니다.
현재 회사의 미래와 전망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대표이사의 지속적인 주식 매수는 어느 정도 회사의 미래에 확신이 있기 때문이라고 보여 집니다.
2) 관련 ETF의 지속적인 상장 및 높은 한미반도체 비중
최근 들어 반도체 관련 ETF가 많이 생기고 있으며 관련 ETF에서 한미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큽니다.
삼성자산운용에서 최근 출시한 반도체 ETF인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ETF의 경우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미반도체[042700](24.6%), ISC[095340](16.7%), 리노공업[058470](11.0%), 대덕전자[353200](9,3%), 하나마이크론[067310](8.2%) 등을 담고 있으며, ‘TIGER AI반도체핵심공정’은 한미반도체(16.1%), 이수페타시스[007660](9.0%), 이오테크닉스[039030](8.2%), 하나마이크론(6.6%)
한미반도체의 비중이 25% 정도로 포트내에서 매우 크며, 이러한 ETF의 상장은 한미반도체 주가를 상승 시키거나 또는 하락시에 유동성을 공급해 줌으로써 하방을 방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밖에도 최근 들어 상장하는 많은 ETF에서 한미반도체의 비중이 매우 크게 포트내에서 차지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중 구성 자체가 한미반도체의 높은 성장성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보입니다.